 |
 |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에서는 2014년 7월 17일(목)과 18일(금) 양일간 열린 "구조물 내진설계 경진대회(주제 : 풍력발전구조물은 안녕하십니까?)"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6년째 계속되는 본 대회는 안전행정부, 국토교통부, 소방방재청, (재)산학협동재단, 한국시설안전공단,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건설연구인프라운영원, 한국지진공학회, 한국면진제진협회,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주한영국문화원등이 후원하였으며, 매년 전국 대학생들의 높은 관심 속에서 개최되고 있다. 특히, 이번대회에서는 대회의 규모가 더욱 확대되어 총28개 대학 46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1단계 설계제안서 평가를 통과한 21개 대학 24개 팀이 17일 프레젠테이션과 18일 진동대(Shaking Table) 시험평가로 본선 경합을 펼쳤다. 수상내역 현황은 다음과 같다.
|
|
상장명 |
부상 |
학교 |
팀명 |
팀원 |
안전행정부장관상 |
NCREE
IDEERS2014
출전권
(제반경비 포함) |
부산
대학교 |
INNOSYS |
성창우, 안성욱,
김동은, 김백주 |
국토교통부장관상 |
NCREE
IDEERS2014
출전권
(제반경비 포함) |
한국기술교육
대학교 |
KOREATECH
ERS |
윤정원, 김원,
최병묵, 이민욱 |
소방방재청장상 |
상장 및
상금 200만원 |
서울시립
대학교 |
밀당의
고수 |
홍석재, 김서연,
문찬웅, 주효은 |
(재)산학협동재단
이사장상 및 부상 |
상장 및
상금 200만원 |
부산
대학교 |
Ctrl |
장윤기, 이인규,
정윤성, 김하나 |
한국시설안전공단
이사장상 |
상장 및
상금 150만원 |
서울시립
대학교 |
아키톡 |
김민수, 조승진,
윤동환, 김명지 |
국토교통과학기
술진흥원장상 |
상장 및
상금 150만원 |
건양
대학교 |
CASE |
서영덕, 고정현,
임광열, 방건혁 |
(재)건설연구
인프라운영원장상 |
상장 및
상금 150만원 |
조선
대학교 |
Wi-keeper |
김정근, 김성경,
장지상, 강소향 |
(사)한국지진
공학회장상 |
상장 및
상금 100만원 |
울산과학
기술대학교 |
단풍잎 |
한성호, 이진현,
정동진, 이준영 |
(사)한국면진
제진협회장상 |
상장 및
상금 100만원 |
인하
대학교 |
어메이징
솔리드맨 |
김용범, 원창영,
정희원, 홍유나 |
(사)한국건축
구조기술사회장상 |
상장 및
상금 100만원 |
세종
대학교 |
Structure
119 |
최성화, 김지민,
김종환, 김민철 |
지진방재
연구센터장상 |
상장 및
상금 100만원 |
충남
대학교 |
회오으리 |
박현범, 이현민,
김정호, 김정규 |
내진설계
우수상 |
상장 및 상금
50만원(2팀) |
이화여자
대학교 |
OASIS |
안혜수, 함희선,
송현지, 황지홍 |
경상
대학교
|
진도8.0 |
김창연, 김홍문,
이영진, 신종명 |
아이디어
우수상 |
상장 및 상금
50만원(2팀) |
계명
대학교
|
AMOS |
김영복, 이건희,
김민규, 최진슬
|
한국해양
대학교 |
VEOSSD |
임명현, 김종범,
김형태, 박성진 |
장려상 |
상장
(9팀) |
연세
대학교 |
안무너짐^^ |
김명근, 박한빈,
김용희, 김병현 |
강원
대학교 |
BUTY |
심은미, 이혜송,
추유림, 이심헌 |
충남
대학교 |
Hi-Nc |
이원재, 양원호,
김혜지, 이재민 |
아주
대학교 |
5inQ |
최태경, 박제언,
진병주, 김혜기 |
동아
대학교 |
지구
방위대 |
신용재, 남현욱,
조만석, 오정환 |
단국
대학교 |
단국
신화 |
이상현, 김정현,
양희철, 이재성 |
울산
대학교 |
잭팟 |
김희성, 천준권,
김진경, 박고은 |
광운
대학교 |
Man
in EP |
최진수, 김남경,
김상연, 노희창 |
목원
대학교 |
NEW
SEED |
신동훈, 이건호,
한현구, 남중훈 |
|
|
 |
2014년 7월 지진방재연구센터에서 신규직원을 채용하였다. 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실험이 많아지면서 실험체의 셋팅과 해체 및 안전관리에 대한 필요가 높아져 테크니션을 채용하게 되었는데, '김영준' 테크니션이 그 주인공이 되었다. 1987년생으로 아직 어린 나이지만 맡은 일을 성실하고 책임감 있게 해내고 있어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된다.
|
|
 |
 |
의뢰기관 |
건설연구인프라운영원 |
실험기간 |
2014년 6월 27일 ~ 2014년 6월 29일 |
실험목적 |
수평 방향 및 수직방향에 대한 3차원 지진격리성능을 갖춘 UPS의 내진성능 검증 |
실험방법 |
전기통신설비의 내진시험방법(전파연구소 공고 제2009-3호, 2009.06.01.) |
|
 |
|
 |
의뢰기관 |
태화이엔지 |
실험기간 |
2014년 8월 7일 ~ 2014년 8월 13일 |
실험목적 |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내진성능 검증 |
실험방법 |
- 현장 설치조건과 유사한 프레임을 진동대에 고정시키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길이 2.4m, 높이 10cm의 H빔을 프레임과 연결함.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은 H빔과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됨.
- 대상설비의 응답을 분석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와 프레임에 3축 가속도계를 설치하였음.
- "전기통신설비의 내진시험방법(전파연구소 공고 제2009-3호, 2009.6.1)"의 응답스펙트럼 조건에 부합하는 지진파를 이용하여 가진.
- 케이블 트레이 시험에 요구응답스펙트럼은 설치되는 건물의 지반 또는 높이 등이 설정되지 않으므로 전기통신설비의 내진시험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층응답스펙트럼을 적용.
- 작성된 지진파의 규모(100%, 150%, 200%)를 조정하여 가진.
|
|
 |
|
 |
의뢰기관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험기간 |
2014년 8월 7일 ~ 2014년 8월 13일 |
실험목적 |
- 철근 콘트리트 기둥을 FRP wire로 보강하고 이에 대한 내하성능을 비보강 실험체와 비교 수행.
- FRP wire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 보강공법의 적용성 확인.
|
실험방법 |
- 유사동적 하중재하 실험 수행
- Draft ratio: 0.25 ~ 3.0%
|
|
 |
|
 |
의뢰기관 |
㈜에스코알티에스 |
실험기간 |
2014년 8월 20일 ~ 2014년 8월 21일 |
실험목적 |
본 시험은 지진발생 시 피해를 입으면 노심손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중요 기반 시설물인 대형 전력설비 부품 중 지진에 가장 취약한 붓싱(Bushing)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개발 중인 3차원 면진 장치의 진동제어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 대한 붓싱의 내진 및 지진격리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
실험방법 |
3차원 진동제어 장치를 진동대 테이블 위해 거치하고, 기초 상면에 부과되는 상부 중량을 대신하기 위해 기 제작된 12ton 용량의 콘크리트 블록(mass)을 장치 위에 연결하도록 한다. 진동대에 적용되는 입력파(Artificial wave, seismic wave etc)를 각각 달리 적용하고 기초(진동대 테이블) 운동, 상부 구조체(콘크리트 블록)와 붓싱 상부의 응답을 계측한다. 그리고 붓싱만을 진동대 시험기에 설치하여 붓싱 자체의 내진특성을 확인하고 지진격리 시험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
|
 |
|
 |
의뢰기관 |
(주)대한전선 |
실험기간 |
2014년 8월 25일 |
실험목적 |
275kV outdoor termination의 내진성능 실증을 위한 실험 |
실험방법 |
- IEEE-693-2005(IEEE Recommended Practicefor Seismic Design of Substations)규격을 따른 내진성능 실증 실험 수행.
- 시간이력시험은 IEEE-693 규격에서 제시한 high required response spectrum(ZPA 0.5g, 2% damping)을 만족하는 지진파를 작성하여 가진.
|
|
 |
|
 |
의뢰기관 |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실험기간 |
2014년 8월 25일 ~ 2014년 10월 29일 |
실험목적 |
수출용 원전의 주요부품인 원전 core 하부의 내진성능 확인을 위하여 core와 이의 지지물인 rig 2를 제작하여, 모드형상과 고유진동수를 확인하고, core의 구조적 안정성과 core 내부기기들의 지진 중 작동성과 핵연료봉의 drop 성능을 시험하여 내진안전성을 파악 |
실험방법 |
- 고유진동수 및 모드형상 추정을 통한 rig 개선(2회)
- SSDM과CRDM의 구조건전성 확인 시험: 주어진 spectra를 만족하는 OBE 가진 각 5회
- SSDM과CRDM의 Drop 성능시험: 주어진spectra를만족하는 OBE 및 SSE 가진 각 1회
|
|
 |
|
 |
의뢰기관 |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실험기간 |
2014년 9월 26일 ~ 2014년 10월 1일 |
실험목적 |
수출용 원전의 주요부품인 원전 core 상부의 내진성능 확인을 위하여 core와 이의 지지물인 rig 3를 제작하여, 고유진동수를 확인하고, core의 구조적 안정성과 core 내부기기들의 지진 중 작동성과 핵연료봉의 drop 성능을 시험하여 내진안전성을 파악 |
실험방법 |
- 구조건전성 확인 시험: 주어진 spectra를 만족하는 OBE 가진 5회
- Drop 성능 시험: 주어진 spectra를 만족하는 OBE 및 SSE 가진 각 1회
|
|
 |
|
 |
의뢰기관 |
㈜태화이엔지 |
실험기간 |
2014년 10월 15일 ~ 2014년 10월 16일 |
실험목적 |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내진성능 검증 |
실험방법 |
- 현장 설치조건과 유사한 프레임을 진동대에 고정시키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길이 2.4m, 높이 10cm의 H빔을 프레임과 연결함.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은 H빔과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됨.
- 대상설비의 응답을 분석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와 프레임에 3축 가속도계를 설치하였음.
- "전기통신설비의 내진시험방법(전파연구소 공고 제2009-3호, 2009.6.1)"의 응답스펙트럼 조건에 부합하는 지진파를 이용하여 가진.
- 케이블 트레이 시험에 요구응답스펙트럼은 설치되는 건물의 지반 또는 높이 등이 설정되지 않으므로 전기통신설비의 내진시험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층응답스펙트럼을 적용.
- 작성된 지진파의 규모(100%, 150%, 200%)를 조정하여 가진.
|
|
 |
|
 |
의뢰기관 |
(주)대한전선 |
실험기간 |
2014년 10월 10일 ~ 2014년 10월 14일 (modal test)
2014년 10월 27일 ~ 2014년 12월 2일 (seismic test) |
실험목적 |
- 500kV outdoor termination의 내진성능 개선을 위한 진동대 실험
- 개선된 500kV outdoor termination의 내진성능 실증 실험
|
실험방법 |
1. 500kV outdoor termination의 내진성능 개선을 위한 진동대 실험
- 공진탐색
- 모드형상 유추를 위한 백색파(white noise) 가진
- IEEE-693-2005(IEEE Recommended Practicefor Seismic Design of Substations)의 high required response spectrum(ZPA 0.5g, 2% damping)에 대한 50% 가진.
2. 개선된 500kV outdoor termination의 내진성능 실증 실험
IEEE-693-2005(IEEE Recommended Practicefor Seismic Design of Substations)규격을 따른 내진성능 실증 실험 수행.
1) Pre-static pull test, Pre-snapback test
2) Time history test(shake table test) : 시간이력시험은 IEEE-693 규격에서 제시한 high required response spectrum(ZPA 0.5g, 2% damping)을 만족하는 지진파를 작성하여 가진.
3) Post-static pull test, Post snapback test
4) Shed seal test
|
|
 |
|
 |
의뢰기관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상호 교수님) |
실험기간 |
2014년 10월 28일 ~ 2014년 10월 29일 |
실험목적 |
한빛 원전 3,4호기에 설치 예정인 경량 방수문의 내진성능을 확인하고, 지진 후 방수시험 확인을 위한 내진환경을 조성하는 시험 |
실험방법 |
방수문 설치 예정 지점의 층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는 인공지진파를 제작하여, OBE 5회 및 SSE 1회를 가진하여 입력지진파의 만족 여부를 평가하고, 시료의 이상 유무를 육안검사 및 고유진동수의 변화로 확인 방수문의 내진성능을 확인 |
|
 |
|
 |
의뢰기관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상호 교수님) |
실험기간 |
2014년 10월 30일 ~ 2014년 10월 31일 |
실험목적 |
가동원전에 설치 예정될 경량 방수문의 내진성능을 확인하고, 지진 후 방수시험 확인을 위한 내진환경을 조성하는 시험 |
실험방법 |
가동 중인 다수의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예정인 방수문의 내진성능 확인을 위하여 각 원자력 발전소의 방수문 설치 위치의 spectra를 모두 포락하는 인공지진파를 제작하여, OBE 5회, SSE 1회 가진 후 입력지진파의 만족 여부를 평가하고, 시료의 이상 유무를 육안검사 및 고유진동수의 변화로 확인
|
|
 |
|
 |
의뢰기관 |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험기간 |
2014년 11월 27일 ~ 2014년 11월 28일 |
실험목적 |
- 댐퍼를 이용한 교량의 진동제어 기술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3경간의 축소모형 교량에 대한 진동제어 실험을 수행함.
- 다양한 진동조건에서 진동제어의 성능 확인.
|
실험방법 |
- 두 개의 진동대에 3경간의 축소모형 교량을 설치하고, 경간 사이에 댐퍼를 설치.
- 진동제어의 경우와 비제어의 경우에 대한 응답을 비교 분석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