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실험센터 소식 >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
 
2015년 1월 총 2회에 걸쳐 4개 과학고 및 영재고의 학생 28명이 지오센트리퓨지 센터를 방문하였다. 15명 단위로 조를 나누어 실험센터의 제어실 및 실험장비를 견학하였으며, 학생들의 많은 관심 속에 원심모형실험의 원리 및 본 센터에서 기 수행된 연구에 대한 간단한 설명 후 창의적이고 활발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한서대학교 박인준 교수 연구팀에서 의뢰한 플렉시블 세그먼트 유무에 따른 터널 내진안정성 평가 실험을 위해 해저 터널 연구단 연구원 20여 명이 센터를 방문하였다. 해저 터널 연구단에서는 고수압 초장대 해저터널 기술자립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 공개실험을 통해 원심모형실험의 적용성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폭넓은 연구교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지난 3월19일~20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이틀에 걸쳐 열린 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에서 지반동역학연구실 학생 3명이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일반세션 수상작으로는 조형익(박사과정)학생의 '전단파속도를 활용한 정사각형 얕은 기초의 침하 예측'논문이 선정되었으며, 학생세션 수상작으로는 이문교(박사과정)학생의 '원심모형실험에서의 지반 물성 계측을 위한 SCPT 시스템 개발'과 이승태(석사과정)학생의 '모래지반에서 석션 케이슨의 설치에 의한 지반교란 평가'가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다.
 
 
2015년 한국 지반공학회 봄 학술 대회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한 University of Cambridge의 Kenichi Soga 교수가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를 방문하였다. 구조물 손상 모니터링 및 제어 관련 대규모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Soga 교수에게 국내 물리 모델링 사례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공동연구 및 협력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전력공사 주관으로 진행 중인 “실규모 해상풍력 터빈을 탑재한 석션버켓 지지구조 실증연구” 사업의 공동연구를 위해 미시건 대학의 Epureanu 교수가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를 방문하였다. 센터 견학 전에 김동수 센터장과 향후 이루어질 공동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하였으며 상호교류 방안을 모색하였다.
 
 
University of Tokyo의 Reiko Kuwano 교수가 지질자원연구원과 KAIST를 방문하였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지반함몰(싱크홀) 문제 등에 대하여 다양한 사례 및 원인 분석 관련 초청세미나 발표를 하였으며, 센터 실험시설을 둘러보고 향후 공동연구 증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시설의 전문적 교육활용을 위하여,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교과목 중 고급지반동역학 과목 내에 원심모형실험 관련 강의 및 실습 내용을 추가하였다. 수강생들의 원심모형실험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센서 교정 및 설치, 모형 제작 등 실험의 준비 과정부터 다양한 센서의 신호 획득 및 처리기법, 실험결과 도출방법 및 상사비 적용 방법 등에 대하여 실습을 수행하였다.
 
 
2015년 5월 23일 KAIST, 아이엠컴퍼니, 글로벌리더십센터 및 도담도담맘스클럽 후원으로 “제 7회 미담방과후학교 꿈 나눔 캠프”를 실시하였으며 행사 일환으로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를 방문하였다. 2개 조 40 여명의 초·중학교 학생들과 약 30분간의 소개 및 질의·응답이 이루어 졌으며, 이를 통해 과학 꿈나물들과의 소통을 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의 Derek Elsworth 교수와 동아대 이대성 교수가 센터를 방문하였다. 암반과 지반의 다양한 역학적 문제, 에너지 관련 이슈 등에 대하여 연구내용을 공유하였으며, 특히 인-플라잇 상태에서의 SCPT를 이용한 지반의 강성 및 강도 도출방법, 유체의 흐름 문제 등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
 
 
Michigan State University의 Brian Feeny가 초청세미나 발표를 위해 KAIST를 방문하였고,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시설을 둘러보았다. 특히 동역학 및 진동 문제 등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진동대의 원리 및 성능, 연구분야에 대해 의견을 교류하였다. 세계 최고 수준의 실험시설을 활용하여 향후 세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센터의 연구원들을 격려하였다.
 
의뢰기관 KAIST
연구책임자 김동수 교수
실험기간 2015년 2월 2일 ~ 7월 31일
실험목적
  • 석션압과 지반교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
  • 설치방법(석션설치, 압입설치)에 따른 관입저항력 및 내부지반교란 비교 평가
  • 석션 및 압입 설치 메커니즘 2차원 시각화
  • 파이핑 메커니즘 분석
실험내용 및 방법
  • 모래지반에서의 석션기초 설치 시 영향인자 (설치속도, 상재하중, 팁두께)에 따른 석션압 및 히빙량 비교평가
  • 하중재하기를 이용한 기초의 압입 설치 대비 석션 설치 시 감소되는 관입저항력 평가 및 케이슨 내부지반 교란정도 비교
  • 석션 기초 관입 메커니즘 시각화
    • - 직경 (D) 100mm, 높이 (L) 100 mm 반단면 제작
    • - 벽면이 유리로 된 토조에 기초 모형 관입중 이미지 캡쳐를 통한 지반변형 분석
주요실험장비 및 센서
  • 실험장비: 지오센트리퓨지, 1축 하중재하기, 자동낙사기
  • 센서: 차압계 1개, 로드셀 1개, 레이저센서: 1개, 유량계 1개, 디지털카메라 1개, 간극수압계 1개
 
 
의뢰기관 KAIST
연구책임자 김동수 교수
실험기간 2015년 1월 12일 ~ 6월 5일
실험목적
  • 다양한 기초 형식에 따른 상부 구조물의 지진하중 평가
  • 단자유도 구조물과 다자유도 구조물의 지반-기초-구조물 상호작용(SFSI) 평가
  • 기초의 항복 거동에 따른 지진하중 저감효과 확인
실험내용 및 방법
  • 기초 종류 : 얕은 기초 (Aluminum & Steel), 말뚝 기초 (Connected & Disconnected)
  •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 조성 및 기초 설치 후 상부 구조물 설치
  • 지진 시 기초의 수평 및 수직 거동과 상부 구조물의 질량의 동적 거동 측정
  • 하부 기초가 고정된 구조물의 거동과 비교 분석을 통한 SFSI효과 확인
주요실험장비 및 센서
  • 실험장비: 지오센트리퓨지, 진동대, 자동낙사기, 초고속 카메라
  • 센서: 가속도계 32개, 토압계 8개, LVDT 4개
 
 
의뢰기관 (주)혜인이엔씨
연구책임자 안용수 부장
실험기간 2015년 1월 15일 ~ 2월 10일
실험목적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점토 지반의 사석 강제치환 과정 구현
  • 영상계측을 통한 원심모형실험 중 사석 강제치환 정도 확인
  • DCM 구조가 점토지반의 사석치환 정도에 미치는 영향 확인
실험내용 및 방법
  • 대조실험(현장시료만 이용), 본실험(경사면, DCM 모형 설치)으로 2차례 실험 수행
  • 사석층 조성 후 원심중력을 이용해 상부하중 재하
  • 영상계측을 통해 사석침하 및 지반 내 Reference point의 이동을 확인
  • DCM 구조의 유무에 따른 사석침하 정도 및 지반 이동 정도를 비교, 확인
주요실험장비 및 센서
  • 실험장비: 지오센트리퓨지, 디지털카메라
  • 센서: LVDT 2개
 
 
의뢰기관 한서대학교
연구책임자 박인준 교수
실험기간 2015년 1월 19일 ~ 2월 13일
실험목적
  • 해저에 설치되는 터널의 내진 안정성 평가
  • 터널 블록 사이의 유연한 세그먼트가 터널 지진 거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세크먼트 효과로 인한 터널 지진하중 저감 효과 확인
실험내용 및 방법
  • 조성 지반 :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 (지하 수위 고려 안함)
  • 세그먼트가 없는 지하 터널에 대한 동적 원심모형실험 수행
  • 유연한 세그먼트가 있는 지하 터널에 대한 동적 원심모형실험 수행
  • 주변 지반과 터널의 가속도 측정을 통한 지진 거동 분석
주요실험장비 및 센서
  • 실험장비: 지오센트리퓨지, 진동대, 자동낙사기
  • 센서: 가속도계 23 개
 
 
의뢰기관 KAIST
연구책임자 박헌준 연구교수
실험기간 2015년 6월 16일 ~ 7월 15일
실험목적 Centrifuge 실험 중 모델의 지반 물성을 평가할 수 있는 SCPT 개발 및 적용
실험내용 및 방법 개발한 SCPT를 Centrifuge 모델 실험에 적용 및 평가
  • 시료조건 : Silica sand (35cm)
  • 실험 조건 : 30g에서 소스와 콘과의 거리를 각각 14.5cm, 6.5cm로 하여 실험
  • 실험 방법 : 개발된 SCPT를 이용 목표 g-level에서의 전단파 속도, 콘 관입 저항력 측정 후 같은 지반 모델에 대한 Bender Element Test 실험 결과 값 비교를 통한 SCPT 적용성 검토
주요실험장비 및 센서
  • 실험장비: 지오센트리퓨지, 자동낙사기
  • 센서: 가속도계 16개, 벤더엘리먼트 20개, 로드셀 1개